맨위로가기

발터 모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터 모델은 독일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891년 독일 겐틴에서 태어났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부상을 입고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동부 전선에서 뛰어난 방어 능력을 보이며 "방어의 사자"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육군 원수로 진급했다. 노르망디 전선과 아르덴 대공세를 지휘했으나, 루르 포위전에서 항복을 거부하고 자살했다. 모델은 뛰어난 지휘 능력으로 평가받았지만, 나치즘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초토화 작전을 명령하여 전쟁 범죄자로 기소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급 무공십자장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수훈자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독일의 장군이자 항공기 제조자로, 특히 체펠린 비행선 개발로 명성을 얻었으며, 루프트쉬프바우 체펠린을 설립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비행선을 공급하는 등 항공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2급 무공십자장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수훈자 - 하인리히 폰 피팅호프
    하인리히 폰 피팅호프는 독일 군인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5 기갑사단을 이끌고 폴란드 침공에 참여했으며 이탈리아 전선에서 연합군의 진격을 늦추는 데 기여했고 전쟁 막바지 항복을 결정한 후 독일 재군비 문제에 관여했다.
  • 1939년형 전상장 금장 수훈자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제3제국의 고위 SS 지도자이자 국가보안본부 국장으로서, 홀로코스트 계획을 주도하고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의 부총독으로 잔혹한 통치를 펼쳤으나 체코 레지스탕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 1939년형 전상장 금장 수훈자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독일 귀족 출신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돌프 히틀러 암살 계획인 7월 20일 음모를 주도했으나 실패하여 처형되었으며, 전후 나치즘에 저항한 독일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스페인 십자장 수훈자 - 빌헬름 카나리스
    빌헬름 카나리스는 독일 해군 제독이자 아프베어 수장으로, 나치 정권에 가담했다가 반나치 운동에 참여하여 히틀러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처형당한 인물이며, 그의 행적은 논쟁의 대상이다.
  • 스페인 십자장 수훈자 - 오스카르 디를레방거
    오스카르 디를레방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무장친위대에서 잔혹한 전쟁 범죄를 저지른 독일 군인으로, 디를레방거 여단을 지휘하며 폴란드와 벨라루스 등지에서 악명을 떨치고 바르샤바 봉기 진압 과정에서 끔찍한 학살을 자행했다.
발터 모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발터 모델, 1940년대 경
발터 모델 (1940년대 경)
본명오토 모리츠 발터 모델
출생1891년 1월 24일
출생지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작센주 겐틴
사망1945년 4월 21일 (54세)
사망지나치 독일 뒤스부르크 근교
안장지휘르트겐발트 (재안장)
별칭히틀러의 소방수
방어의 사자 (Abwehrlöwen)
방어전의 마스터 (Meister der Defensive)
동부전선의 수호자 (Retter der Ostfront)
최전방의 돼지 (Frontschwein)
발터 모델 서명
발터 모델 서명
군사 경력
소속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군종독일 제국 육군
국방군
독일 육군
복무 기간1909년 ~ 1945년
최종 계급야전원수
주요 지휘제3기갑사단
제41기갑군단
제9군
북부 집단군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중앙 집단군
B 집단군
서부 총사령관
주요 참전 전투
제1차 세계 대전몽스 전투
아라스 전투
제2차 샹파뉴 전투
베르됭 전투
독일군 춘계 공세
미하엘 작전
제2차 마른 전투
리스 강 전투 및 에스코 강 전투
제2차 세계 대전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동부 전선
바르바로사 작전
스몰렌스크 전투
키예프 전투
모스크바 전투
르제프 전투들
자이들리츠 작전
화성 작전
쿠르스크 전투
쿠투조프 작전
바그라티온 작전
빌뉴스 공세
카우나스 공세
나르바 전투
라지민 전투
서부 전선
노르망디 상륙 작전
팔레즈 전투
트랙터블 작전
샹부아 전투
힐 262 전투
생 랑베르 쉬르 다이브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에인트호번 전투
손 전투
페헬 전투
흐라버 전투
오스터베이크 전투
네이메헌 전투
뉘에넨 전투
아른험 전투
네이메헌 역공세
아헨 전투
휘르트겐 숲 전투
포세나크 전투
콤머샤이트 전투
셸트 전투
페전트 작전
지몬스칼 전투
퀸 작전
벌지 전투
생 비트 전투
럼버잭 작전
루르 포위전
훈장

2. 어린 시절 및 경력

발터 모델은 1891년 1월 24일, 독일 작센 왕국 겐틴에서 음악 교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중산층 비(非) 군인 가문 출신으로, 겐틴의 주민 학교와 나움부르크 돔김나지움을 졸업했다. 1909년, 나이세(현 폴란드 니사)에 소재한 육군 사관 후보학교에 입학했으나, 체력 부족으로 군인에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1910년, 제52 보병 연대 폰 알펜슐레벤에 소위로 임관했다. 동기 장교들 사이에서 친구가 많지 않았고, 거칠고 직설적인 화법으로 유명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델이 배속된 제52 보병 연대는 제5사단으로 편성되어 서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다.[13] 모델은 52연대 1대대장 부관으로 근무했다.[13] 1915년 10월, 무릎과 어깨에 포탄 파편이 박히는 부상을 입었으나, 병원에 후송되지 않고 전선에 남았다. 그 후, 어깨뼈에 박힌 파편이 목 동맥까지 파고드는 심각한 부상을 입고서야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1급 철십자장을 받았다.[13]

1915년 2월 25일 대위(Oberleutnant)로 진급하였고, 5월에는 아라스 부근에서 총알이 어깨뼈를 관통하는 부상을 입고 한달 간 병원에 입원했다. 9월 부트 드 타우르 주변 전투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10월 19일 철십자 훈장 1급을 수여받았으며, 11월 3일에는 포격 파편에 오른쪽 어깨를 다쳐 6주 동안 병원 신세를 졌다. 1916년 4월 26일 베르됭 전투에서 오른쪽 허벅지에 포탄 파편을 맞는 부상을 입었다.[13]

사단장의 추천으로 독일 참모 본부 훈련에 참여하여 8개월의 단축된 참모 장교 과정을 마쳤다.[13] 이후 제10 보병 여단의 부관으로 제5사단에 복귀했고, 제52 보병 연대와 제8 생명 척탄병에서 중대장으로 근무했다. 1917년 6월, 제3군단 참모장이었던 게오르크 베첼 중령에 의해 최고 육군 지휘부de(Oberste Heeresleitung, OHL)에 발탁되어 병기 장교가 되었다. 1917년 말, 한스 폰 젝트 대령과 함께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오스만 제국의 전쟁 수행 능력과 독일군 중동 투입 가능성을 평가하는 참모 장교 그룹의 일원이었다.[13]

1917년 11월 대위로 승진하고,[13] 1918년 3월 대위(Hauptmann)로 진급, 근위 예비 사단의 사단 보급 장교(IIb)로 배속되어 독일 봄 공세에 참전했다. 근위 예비 사단은 3월 영국군과의 미카엘 작전, 7월에는 프랑스군과의 마른 강 제2차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제36 예비 사단에서 종전을 맞았다.[13]

== 전간기 ==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모델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군대인 국가방위군에 잔류했다.[14] 모델은 한스 폰 젝트 상급대장의 추천을 받아 국가방위군에 남을 수 있었다.[14] 1920년, 루르의 공산주의 봉기 당시 진압 부대에 소속되어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15]

1921년 5월 12일, 모델은 헤르타 후이센(Herta HuyssenDe)과 프랑크푸르트에서 결혼했고[6] 슬하에 크리스타(Christade), 헬라(Hellade), 한스게오르크(Hansgeorgde) 삼남매를 두었다. 모델은 전쟁 이야기를 혐오하였고 가족들에게 절대로 정치나 전쟁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다. 아들 한스게오르크는 훗날 독일 연방군에서 소장이 되었다.

1925년, 모델은 국가방위군의 정예 부대인 제3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1928년부터 장군참모 기본과정에서 전술 및 군사학을 강의하는 교관으로 근무하며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아돌프 호이징어, 알프레트 요들, 지크프리트 라스프 등이 있었다. 1930년 병무청 훈련국으로 발령받아 군사적 근대화의 열렬한 지지자로 활동했다.

1938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장성이 된 모델은 나치 정권의 여러 고위 인물들과 접촉했으며, 특히 요제프 괴벨스알베르트 슈페어와 친밀한 관계였다는 주장이 있지만 정황상 근거에 비해 명확한 증거와 기록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독실한 루터교 신자였던 모델은 나치의 종교 개입에 반대하며 마르틴 니묄러 목사와 서한을 주고받았다.[16] 1929년부터 모델은 니묄러 목사를 자택에 자주 초대하여 토론을 거듭하게 되었다. 모델은 나치당의 지지자였지만, 교회 내 친나치 세력이었던 "독일적 기독교인"에게는 가까이하지 않았다.[8]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델이 배속된 제52 보병 연대는 제5사단으로 편성되어 서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다.[13] 모델은 52연대 1대대장 부관으로 근무했다.[13] 1915년 10월, 무릎과 어깨에 포탄 파편이 박히는 부상을 입었으나, 병원에 후송되지 않고 전선에 남았다. 그 후, 어깨뼈에 박힌 파편이 목 동맥까지 파고드는 심각한 부상을 입고서야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1급 철십자장을 받았다.[13]

1915년 2월 25일 대위(Oberleutnant)로 진급하였고, 5월에는 아라스 부근에서 총알이 어깨뼈를 관통하는 부상을 입고 한달 간 병원에 입원했다. 9월 부트 드 타우르 주변 전투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10월 19일 철십자 훈장 1급을 수여받았으며, 11월 3일에는 포격 파편에 오른쪽 어깨를 다쳐 6주 동안 병원 신세를 졌다. 1916년 4월 26일 베르됭 전투에서 오른쪽 허벅지에 포탄 파편을 맞는 부상을 입었다.[13]

사단장의 추천으로 독일 참모 본부 훈련에 참여하여 8개월의 단축된 참모 장교 과정을 마쳤다.[13] 이후 제10 보병 여단의 부관으로 제5사단에 복귀했고, 제52 보병 연대와 제8 생명 척탄병에서 중대장으로 근무했다. 1917년 6월, 제3군단 참모장이었던 게오르크 베첼 중령에 의해 최고 육군 지휘부de(Oberste Heeresleitung, OHL)에 발탁되어 병기 장교가 되었다. 1917년 말, 한스 폰 젝트 대령과 함께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오스만 제국의 전쟁 수행 능력과 독일군 중동 투입 가능성을 평가하는 참모 장교 그룹의 일원이었다.[13]

1917년 11월 대위로 승진하고,[13] 1918년 3월 대위(Hauptmann)로 진급, 근위 예비 사단의 사단 보급 장교(IIb)로 배속되어 독일 봄 공세에 참전했다. 근위 예비 사단은 3월 영국군과의 미카엘 작전, 7월에는 프랑스군과의 마른 강 제2차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제36 예비 사단에서 종전을 맞았다.[13]

2. 2.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모델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군대인 국가방위군에 잔류했다.[14] 모델은 한스 폰 젝트 상급대장의 추천을 받아 국가방위군에 남을 수 있었다.[14] 1920년, 루르의 공산주의 봉기 당시 진압 부대에 소속되어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15]

1921년 5월 12일, 모델은 헤르타 후이센(Herta HuyssenDe)과 프랑크푸르트에서 결혼했고[6] 슬하에 크리스타(Christade), 헬라(Hellade), 한스게오르크(Hansgeorgde) 삼남매를 두었다. 모델은 전쟁 이야기를 혐오하였고 가족들에게 절대로 정치나 전쟁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다. 아들 한스게오르크는 훗날 독일 연방군에서 소장이 되었다.

1925년, 모델은 국가방위군의 정예 부대인 제3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1928년부터 장군참모 기본과정에서 전술 및 군사학을 강의하는 교관으로 근무하며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아돌프 호이징어, 알프레트 요들, 지크프리트 라스프 등이 있었다. 1930년 병무청 훈련국으로 발령받아 군사적 근대화의 열렬한 지지자로 활동했다.

1938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장성이 된 모델은 나치 정권의 여러 고위 인물들과 접촉했으며, 특히 요제프 괴벨스알베르트 슈페어와 친밀한 관계였다는 주장이 있지만 정황상 근거에 비해 명확한 증거와 기록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독실한 루터교 신자였던 모델은 나치의 종교 개입에 반대하며 마르틴 니묄러 목사와 서한을 주고받았다.[16] 1929년부터 모델은 니묄러 목사를 자택에 자주 초대하여 토론을 거듭하게 되었다. 모델은 나치당의 지지자였지만, 교회 내 친나치 세력이었던 "독일적 기독교인"에게는 가까이하지 않았다.[8]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델은 폴란드 침공 때는 제4육군단 참모장을, 프랑스 공방전 때는 제16군 참모장을 역임했다. 1940년 4월 소장으로 진급했고, 그해 11월 제3기갑사단 사단장이 되어 처음으로 참모가 아닌 야전 지휘관이 되었다. 모델은 부대 조직 및 지휘에서 형식적 요소를 무시했고, 이는 사병들에게는 열광받았지만 참모장교들에게는 불만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제병과연합훈련을 통해 부하들이 본래 병과와 상관없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기응변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러한 방식은 1941년 초 이전까지만 해도 독일 국방군에서 보편적인 방식은 아니었다.

=== 독소전쟁 개전 ===

1941년 6월에서 12월까지,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독일군 진격도.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모델의 제3기갑사단하인츠 구데리안이 지휘하는 제2기갑집단에 배속되어 작전의 선봉을 맡았다. 1941년 6월 22일 작전 개시 이후, 구데리안의 독촉에 따라 빠른 속도로 진격하여 7월 4일 드네프르강에 최초로 도달, 이 공로로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았다. 그러나 소련 붉은 군대가 이미 드네프르 강을 방어선으로 삼으려 했기에, 온전한 전력으로 강을 건너는 것은 쉽지 않았다.

1941년 제2기갑군의 지휘관이자 직속 상관인 하인츠 구데리안과 함께 있는 모델


7월 10일, 모델은 추가 병력을 지원받아 부대를 3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보병집단이 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하고, 기갑집단은 교두보를 통해 진격하며, 야포는 화력지원집단이 운용하는 방식이었다. 이 계획은 성공하여 거의 사상자 없이 도하에 성공했다. 이후 2주 동안 기갑집단의 측면 방어전이 계속되었고, 모델은 제1기병사단을 포함한 "모델 집단"을 이끌고 로슬라블 근교에서 소련군을 격파했다.

에른스트게오르크 부흐터키르히와 이야기를 나누는 모델(가운데). 1941년 7월 동부전선.


스몰렌스크 전투 이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구데리안의 기갑집단은 남쪽 우크라이나로 방향을 틀었다. 모델의 제3기갑사단은 키예프를 방어하는 소련군을 포위하기 위해 275km를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1년 8월 24일에서 9월 14일 사이, 모델은 소련 남서부 전선 후방을 기습 공격하여, 로크비스타에서 남부 집단군의 제16기갑사단과 접촉하여 포위망을 완성했다.

=== 모스크바 공방전 ===

발터 모델은 키예프 포위전 직후 기갑대장으로 승진하여 제41기갑군단장에 임명되어 태풍 작전에 참여했다. 1941년 10월 2일 공격이 시작되었고, 모델은 11월 14일에 새로운 부임지에 도착했다. 제41기갑군단은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의 제3기갑집단 소속으로, 모스크바 북서쪽 160km 지점인 칼리닌에 위치해 있었다. 모델은 최전선을 돌아다니며 부대를 독려하고, 세부 규약이나 명령 체계를 무시하며, 참모들을 뒤에 남겨두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12월 5일, 제41기갑군단의 제6기갑사단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불과 35km 떨어진 이오흔카에 도달했으나, 영하 40도까지 떨어지는 혹한으로 인해 무기와 차량이 얼어붙어 진격이 중단되었다. 독일군이 공세를 중단하자마자 소련군의 칼리닌 전선군, 서부 전선군, 남서부 전선군이 대규모 역공을 개시했다. 3주간의 혼란스러운 전투 끝에 라인하르트는 포위 가능성을 피해 라마강 선 뒤로 후퇴했고, 모델은 후퇴 엄호를 맡아 엄격한 리더십으로 독일군의 질서를 회복시켰다.

모델은 거점 방어 형태와 포병 화력 우위를 활용하는 전술을 통해 소련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했다. 그는 소련군의 전술적 조화가 엉망이고 군수 상황이 빠르게 움직이는 전투를 따라가기에 불충분하다는 점을 파악하여, 부하들에게 산개를 명령하고 소규모 기계화전투단을 이용해 돌파구를 시도했다. 이러한 전술은 성공적이었지만, 1941년 말 제6기갑사단의 병력이 1,000명에 불과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

바르바로사 작전 중 독일군의 진격, 1941년 6월~12월


=== 르제프 전투 ===

모델은 1942년 1월 르제프 돌출부의 제9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중부 집단군에서 모델보다 선임인 장교가 열다섯 명이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파격적인 인사였다. 모델은 부임 직후 반격을 통해 소련 제39군을 고립시켰고, 2월까지 격렬한 전투를 지속하며 포위망을 제압했다. 이 공로로 모델은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고 상급대장으로 승진했다.

소련의 1941년 겨울 반격


제9군의 전선을 회복시킨 모델은 자신의 독창적인 전술 혁신을 활용하여 방어 교리를 확립했다. 여기에는 최전방 정보에 기반한 최신 정보 확보, 얇더라도 끊기지 않는 최전선 유지, 돌파구에 대비한 전술 예비대 운용, 중앙집중식 포병 지휘통제, 복수 방어선 구축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포병 전력의 중앙집중화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겪었던 화력 집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히틀러의 복수 방어선 구축 금지 명령을 무시하고 방어선을 구축하여 적의 진격을 늦추는 데 활용했다.

1942년 7월, 소련군의 재공세로 독일군 전선이 붕괴되었으나, 모델은 부상에서 복귀하여 방어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1942년 9월의 춘계 공세와 11월의 화성 작전에서 모델은 소련군의 공격을 막아내며 "방어의 사자(Abwehrlöwende)"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3년 3월, 제9군은 뷔펠 작전을 통해 르제프 돌출부를 포기하고 후퇴했다. 이 과정에서 모델은 초토화 명령을 내려 민간인들을 강제 퇴거시키고 우물에 독을 타거나 마을을 불태우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소련군 공식 보고서와 영국의 종군기자 알렉산더 베르트는 모델의 초토화 정책으로 인한 참상을 기록했으며, 민간인 학살의 책임이 게슈타포나 보안국뿐만 아니라 국방군 정규군에게도 있다고 밝혔다.

=== 쿠르스크, 오렐 ===

1943년 7월 5일, 모델은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의 북쪽 공격을 지휘했다. 이 작전은 독일 고위 지휘관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5월에 공격을 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하인츠 구데리안은 공격이 불필요하다고 반대했다.[20][21] 모델은 콘스탄틴 로코솝스키의 중앙 전선군이 병력, 전차, 야포 면에서 독일군보다 우세하다는 점을 들어 작전의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0] 그는 4월 말에 이미 히틀러에게 항공 사진을 제시하며 소련군의 방어가 튼튼히 구축되어 있음을 증명했고, 작전을 포기하거나 새로운 전술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21]

1943년 여름 시타델 작전 중 독일 장갑차


모델의 예상대로 독일군의 공세는 실패했고, 제9군은 소련군의 정교한 요새화에 발이 묶였다. 7일 동안 12km 이하를 진격하는 데 그쳤으며, 개활지로 돌파하는 데 실패했다. 붉은 군대는 모델에게 더 집중된 방어를 펼쳤고, 로코솝스키는 공격 위치를 정확히 예측하여 해당 지역 방어를 강화했다.

7월 12일, 소련군의 역공(쿠투조프 작전)이 시작되었다. 브랸스크 전선군과 서부 전선군까지 동원된 소련군은 모델이 동원했던 병력보다 더 많았다. 폰 클루게는 모델에게 제9군과 제2기갑군 지휘를 맡겨 더 많은 병력을 지휘하게 했다. 스타프카는 48시간 안에 오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지만, 3주간의 전투 끝에 모델은 오렐 돌출부에서 질서정연하게 후퇴했다. 7월 1일부터 10일까지 독일군 사상자는 21,000명, 11일부터 31일까지는 62,000명이었다. 모델은 붉은 군대에 42만 9,890명의 사상자와 2,586대의 전차 손실을 입혔다.

모델은 오렐 돌출부에서 초토화를 명령하여 산업 기반과 농작물을 파괴하고 민간인들을 방치했다. 오렐을 잃은 후, 모델은 드네프르강까지 후퇴했다. 9월 말, 모델은 제9군 사령관에서 교체되어 3개월간 휴가를 보냈다.

=== 에스토니아 ===

1944년 1월, 레닌그라드 포위망이 볼코프, 레닌그라드, 제2발트 전선군에 의해 돌파되자, 발터 모델은 북부 집단군 사령관으로 급파되었다. 제18군의 3개 군단 중 2개 군단이 분쇄되고, 나르바를 방어하던 제3SS기갑군단과의 연락이 두절되는 등 상황은 매우 심각했다. 전임 사령관 게오르크 폰 퀴흘러에스토니아의 판터 선까지 후퇴를 요청했으나, 모델은 "방패와 검(Schild und Schwertde)"이라는 새로운 정책을 통해 일시적으로 영토를 포기하고 예비대를 확보하여 즉각적인 반격을 가하는 전략을 펼쳤다.

모델은 나르바 방면의 방어를 오토 슈폰하이머에게 위임하여 나르바 분견군을 지휘하도록 했고, 자신은 곤경에 처한 제18군을 구출하는 데 집중했다. OKH의 허락도 받지 않고 소련군의 출혈을 강요하고 진격 속도를 늦추기 위한 여러 개의 중간 방어선들을 축성하여 후퇴를 엄호했다.

3월이 되자 후퇴는 완료되었고, 모델의 부대는 거의 온전하게 후퇴했으나, 이후 벌어진 반격 과정에서 10,000 – 12,000명의 병력 손실이 발생했다. 이러한 반격은 점령지 회복에는 실패했지만, 소련군의 균형을 뒤흔들며 모델이 부대를 계속 후퇴시킬 시간을 벌어 주었다. 1944년 3월, 모델은 육군 원수로 진급했다.

동부 전선에서 1943년 8월부터 1944년 12월까지 소련군의 진격


=== 우크라이나, 폴란드 ===

1944년 3월, 발터 모델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주코프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에 맞서 갈리치아에서 후퇴하고 있었다. 이전 남부 집단군 사령관 폰 만슈타인은 히틀러의 신임을 잃어 해임되었고, 히틀러는 보다 강경하게 방어전에 임할 인물로 모델을 선택했다.

6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중부 집단군이 붕괴되자, 모델은 이를 구원하기 위해 북상했다. 제9군과 제4군이 포위되었고, 붉은 군대는 민스크 해방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모델은 민스크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독일군의 전력 부족과 히틀러의 늦은 결정으로 인해 제4군의 탈출과 전반적인 후퇴가 지연되었다.

7월 3일, 소련 제1벨로루시 전선군과 제3벨로루시 전선군이 민스크를 탈환했다. 모델은 북부 집단군과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에서 구원 사단을 보내 민스크 서쪽 외곽에 전선을 재구축하려 했으나, 독일군의 전력 부족으로 인해 7월 12일까지 빌뉴스-바라노비치까지 후퇴했다. 한편, 이반 코네프가 지휘하는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과 제1벨로루시 전선군 좌익이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에 대해 르보프-산도미에르즈 공세를 개시했다. 이 전투에서 제1기갑군은 모델의 방어전술을 이용해 르보프 동쪽 전선을 유지했으나, 제4기갑군이 소련군의 진격을 막지 못해 후퇴했다.

1944년 7월, 벨라루스에서 제9군이 퇴각하면서 버려진 독일 차량들


모델은 바르샤바 코앞까지 진격한 붉은 군대의 진격을 라지민 근처에서 막아내며 비스툴라 강을 따라 전선을 구축했다. 1944년, 모델은 동부전선의 3개 집단군을 모두 지휘했으며, 한때 중부 집단군과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을 동시에 지휘하기도 했다.

=== 노르망디 ===

1944년 8월 17일, 발터 모델은 동부 전선의 공적으로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고 서부 전선으로 전출되어 B 집단군 사령관 및 서부최고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7월 20일 음모에 연루된 귄터 폰 클루게는 모델과 교체되어 독일 본토로 돌아가는 길에 음독 자살했다. 당시 노르망디 전선은 붕괴 직전이었고, 미국 제3군이 센강을 향해 진격해오면서 B 집단군은 팔레즈 고립부에 갇혀 전멸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모델은 히틀러에게 제7군에버바흐 기갑집단의 즉각적인 탈출을 허가해 달라고 설득하여, 포위된 병력의 상당수를 구출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기갑 및 중장비 병력을 잃었다. 히틀러의 파리 사수 요구에 모델은 추가 병력 20만 명과 새 기갑 사단 여러 개를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파리는 8월 25일 연합군에게 함락되었다.

9월 초, 모델은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에게 서부 전선 총사령관 직을 인계하고, B 집단군 사령관직만 유지했다.

팔레즈 인근에서 파괴된 독일 호송대의 잔해


=== 독일 본토 방어 ===

모델은 B집단군 사령부를 네덜란드 아른험 근교 우스터비크에 설치하고 지크프리트 선을 기반으로 B집단군 재편과 네덜란드, 독일 본토 방어에 집중했다. 그러나 연합군 정보부는 이를 파악하지 못했다.

1944년 9월 17일, 영국 제1공수사단이 후방에 강하하면서 마켓 작전이 시작되었다. 연합군은 라인강 하류 지류인 뫼즈강과 바알강의 교량들을 공수부대로 점거하여 독일 본토까지 진격하려 했다. 모델은 처음에는 연합군이 자신과 참모진을 납치하기 위해 공수부대를 투입시킨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곧 강하 규모를 보고 다른 목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연합군의 진짜 목적을 간파한 모델은 제2SS기갑군단에게 명령을 내렸고, 연합군 정보병과는 이를 간과했다. 제2SS기갑군단은 제9SS기갑사단과 제10SS기갑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노르망디에서 큰 손실을 보았지만 고참병들로 이루어진 정예 사단이었고 경무장한 공수부대에게는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제9SS기갑사단은 아른험에서, 제10SS기갑사단은 네이메헌에서 영국 공수부대를 공격했다.

모델은 이 상황이 연합군에게 반격을 가해 네덜란드 남부에서 연합군 세력을 몰아낼 기회라고 생각했다. 이를 위하여 모델은 빌리 비트리히 집단지도자와 하인츠 하르멜 여단지도자에게 네이메헌 교량을 파괴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결과적으로 교량 존치는 전술적 실책이 되었지만, 모델은 전황을 완전히 파악하여 공군, 해군 등 서로 소속이 다른 부대와 2선급 부대원들을 재편성하여 적재적소에 투입했고, 연합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독일군은 아른험 교량을 사수했고 영국 제1공수사단은 전멸했다. 이로써 1944년 연말 이전에 라인 강을 넘고자 했던 연합군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아헨 근교 지크프리트 선의 용치.


모델이 아른헴 전투에서 승리하자 독일군은 노르망디 상륙 이후 거듭됐던 혼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모델은 9월 말부터 아헨 전투, 12월의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오마 브래들리가 이끄는 미 제12군의 공격을 맞아 방어했다. 모델은 전투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면서 연합군의 진격을 늦추었고, 지크프리트 선을 활용하며 연합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휘르트겐 숲에서 미국 제1군은 33,000 명의 사상자를 냈고, 독일군의 사상자는 28,000명이었다. 아헨은 10월 22일에야 연합군에게 함락되었고, 미국 제9군이 큰 피해를 보았다. 미 제9군은 뢰르 강까지 진격하기는 했으나 강을 건너거나 뢰르 강 댐을 독일군으로부터 빼앗지는 못했다.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자 연합군 측에서는 “최악의 패배”라는 내부적 평가가 내려졌고, 그것은 순전히 모델 개인의 지휘력에 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아르덴 대공세 (벌지 전투) ===

마켓 가든 작전에서 독일 국방군이 승리한 후, 히틀러는 영미권 군대를 기습하여 앤트워프를 탈환하고 연합군 간의 불화를 야기하며, 루르에 대한 적의 위협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공세를 계획했다.[24] 이 작전은 라인 강의 파수꾼(''Wacht am Rhein''de) 작전이라고 명명되었다.

좌에서 우 순서로: 모델, 룬트슈테트, 크렙스. 1944년 11월.


하지만, 모델은 다른 지휘관들과 마찬가지로 이 목표가 현재 서부전선에서 가용한 자원으로는 달성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26] 그는 뫼즈 강을 건너지 않는 덜 야심찬 공격 작전인 헤르스트네벨 작전(가을 안개 작전)을 준비하여 히틀러에게 "소규모 해결책"을 제안했다.[26] 그러나 히틀러는 이를 거부하고 앤트워프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해결책"을 명령했다.

작전 실행을 위해 모델에게는 제6SS기갑군, 제5기갑군, 제7군이 배치되었다. 이 병력은 2,000대 이상의 전차와 2,0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한 독일 제3제국 최후의 전략 예비대였다. 모델은 유류 부족으로 작전 성공 가능성이 낮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작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44년 12월 16일, 아르덴 대공세가 시작되어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항공 지원 부족, 미숙련 보병 병력, 그리고 특히 연료용 중유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제6SS기갑군은 연합군의 저항에 부딪혔고, 제5기갑군은 연합군 전선을 넘는 데는 성공했으나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모델은 바스토뉴에서 중요한 도로 분기점을 장악하지 못했고, 악천후와 험한 지형으로 인해 독일군은 전선 앞에서 교통 정체를 겪었다. 결국 연료와 탄약 부족으로 12월 25일 공격이 중단되었고, 1945년 1월 8일 공세는 완전히 포기되었다.

=== 루르 ===

1945년 1월 21일, 히틀러는 모델의 작전 결정 자유권을 제한하고, 독일군 부대는 총통이자 육군 총사령관인 자신의 직속 명령에 따를 것을 선언했다. 라인강 후방으로 후퇴해야 한다는 제안은 모두 기각되었고, 현 위치로부터 단 1인치도 후퇴하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연합군의 레마겐 다리 점령은 모델에게 종말의 시작이었다.


3월 중순, 모델과 B 집단군은 레마겐 전투에서 루덴도르프 교 파괴에 실패했고, 미군은 루덴도르프 교를 통해 마련한 교두보로 라인 강을 넘어 독일 본토로 진격해왔다.[27] B 집단군은 미군을 상대로 소모전을 계속했고 이 과정에서 미군 제3기갑사단 모리스 로스 소장이 전사했다.[27]

4월 1일, B 집단군은 루르에서 미 제1군과 미 제9군에게 완벽히 포위되었다. 히틀러는 항복이나 탈출을 허가하지 않았고,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파울루스에게 그랬던 것처럼 루르 시가지를 요새로 삼아 끝까지 항전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독일의 중심 산업지역인 루르 공단의 인프라를 연합군의 손에 넘어가기 전에 물리적으로 파괴하라고 B 집단군에게 재차 지시했지만, 모델은 히틀러의 지시를 무시했다.

4월 15일, 연합군이 루르 고립부를 둘로 양분했다. 미국 제18공수군단 군단장 매튜 리지웨이 소장은 모델에게 이미 상황은 돌이킬 수 없으니 부하 장병들의 목숨을 내버리지 말고 항복하라고 권고했다. 모델은 독일군 원수로서 총통

3. 1. 독소전쟁 개전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발터 모델의 제3기갑사단하인츠 구데리안이 지휘하는 제2기갑집단에 배속되어 작전의 선봉을 맡았다. 1941년 6월 22일 작전 개시 이후, 구데리안의 독촉에 따라 모델은 빠른 속도로 진격하여 7월 4일 드네프르강에 최초로 도달, 이 공로로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았다. 그러나 소련 붉은 군대가 이미 드네프르 강을 방어선으로 삼으려 했기에, 온전한 전력으로 강을 건너는 것은 쉽지 않았다.

|thumb|1941년 제2기갑군의 지휘관이자 직속 상관인 하인츠 구데리안과 함께 있는 모델

7월 10일, 모델은 추가 병력을 지원받아 부대를 3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보병집단이 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하고, 기갑집단은 교두보를 통해 진격하며, 야포는 화력지원집단이 운용하는 방식이었다. 이 계획은 성공하여 거의 사상자 없이 도하에 성공했다. 이후 2주 동안 기갑집단의 측면 방어전이 계속되었고, 모델은 제1기병사단을 포함한 "모델 집단"을 이끌고 로슬라블 근교에서 소련군을 격파했다.

|섬네일|에른스트게오르크 부흐터키르히와 이야기를 나누는 모델(가운데). 1941년 7월 동부전선.]]

스몰렌스크 전투 이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구데리안의 기갑집단은 남쪽 우크라이나로 방향을 틀었다. 모델의 제3기갑사단은 키예프를 방어하는 소련군을 포위하기 위해 275km를 진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1년 8월 24일에서 9월 14일 사이, 모델은 소련 남서부 전선 후방을 기습 공격하여, 로크비스타에서 남부 집단군의 제16기갑사단과 접촉하여 포위망을 완성했다.

3. 2. 모스크바 공방전

발터 모델은 키예프 포위전 직후 기갑대장으로 승진하여 제41기갑군단장에 임명되어 태풍 작전에 참여했다. 1941년 10월 2일 공격이 시작되었고, 모델은 11월 14일에 새로운 부임지에 도착했다. 제41기갑군단은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의 제3기갑집단 소속으로, 모스크바 북서쪽 160km 지점인 칼리닌에 위치해 있었다. 모델은 최전선을 돌아다니며 부대를 독려하고, 세부 규약이나 명령 체계를 무시하며, 참모들을 뒤에 남겨두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12월 5일, 제41기갑군단의 제6기갑사단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불과 35km 떨어진 이오흔카에 도달했으나, 영하 40도까지 떨어지는 혹한으로 인해 무기와 차량이 얼어붙어 진격이 중단되었다. 독일군이 공세를 중단하자마자 소련군의 칼리닌 전선군, 서부 전선군, 남서부 전선군이 대규모 역공을 개시했다. 3주간의 혼란스러운 전투 끝에 라인하르트는 포위 가능성을 피해 라마강 선 뒤로 후퇴했고, 모델은 후퇴 엄호를 맡아 엄격한 리더십으로 독일군의 질서를 회복시켰다.

모델은 거점 방어 형태와 포병 화력 우위를 활용하는 전술을 통해 소련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했다. 그는 소련군의 전술적 조화가 엉망이고 군수 상황이 빠르게 움직이는 전투를 따라가기에 불충분하다는 점을 파악하여, 부하들에게 산개를 명령하고 소규모 기계화전투단을 이용해 돌파구를 시도했다. 이러한 전술은 성공적이었지만, 1941년 말 제6기갑사단의 병력이 1,000명에 불과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

3. 3. 르제프 전투

모델은 1942년 1월 르제프 돌출부의 제9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중부 집단군에서 모델보다 선임인 장교가 열다섯 명이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파격적인 인사였다. 모델은 부임 직후 반격을 통해 소련 제39군을 고립시켰고, 2월까지 격렬한 전투를 지속하며 포위망을 제압했다. 이 공로로 모델은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고 상급대장으로 승진했다.

제9군의 전선을 회복시킨 모델은 자신의 독창적인 전술 혁신을 활용하여 방어 교리를 확립했다. 여기에는 최전방 정보에 기반한 최신 정보 확보, 얇더라도 끊기지 않는 최전선 유지, 돌파구에 대비한 전술 예비대 운용, 중앙집중식 포병 지휘통제, 복수 방어선 구축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포병 전력의 중앙집중화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겪었던 화력 집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히틀러의 복수 방어선 구축 금지 명령을 무시하고 방어선을 구축하여 적의 진격을 늦추는 데 활용했다.

1942년 7월, 소련군의 재공세로 독일군 전선이 붕괴되었으나, 모델은 부상에서 복귀하여 방어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 1942년 9월의 춘계 공세와 11월의 화성 작전에서 모델은 소련군의 공격을 막아내며 "방어의 사자(Abwehrlöwende)"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3년 3월, 제9군은 뷔펠 작전을 통해 르제프 돌출부를 포기하고 후퇴했다. 이 과정에서 모델은 초토화 명령을 내려 민간인들을 강제 퇴거시키고 우물에 독을 타거나 마을을 불태우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소련군 공식 보고서와 영국의 종군기자 알렉산더 베르트는 모델의 초토화 정책으로 인한 참상을 기록했으며, 민간인 학살의 책임이 게슈타포나 보안국뿐만 아니라 국방군 정규군에게도 있다고 밝혔다.

3. 4. 쿠르스크, 오렐

1943년 7월 5일, 모델은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의 북쪽 공격을 지휘했다. 이 작전은 독일 고위 지휘관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5월에 공격을 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하인츠 구데리안은 공격이 불필요하다고 반대했다.[20][21] 모델은 콘스탄틴 로코솝스키의 중앙 전선군이 병력, 전차, 야포 면에서 독일군보다 우세하다는 점을 들어 작전의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0] 그는 4월 말에 이미 히틀러에게 항공 사진을 제시하며 소련군의 방어가 튼튼히 구축되어 있음을 증명했고, 작전을 포기하거나 새로운 전술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21]

모델의 예상대로 독일군의 공세는 실패했고, 제9군은 소련군의 정교한 요새화에 발이 묶였다. 7일 동안 12km 이하를 진격하는 데 그쳤으며, 개활지로 돌파하는 데 실패했다. 붉은 군대는 모델에게 더 집중된 방어를 펼쳤고, 로코솝스키는 공격 위치를 정확히 예측하여 해당 지역 방어를 강화했다.

7월 12일, 소련군의 역공(쿠투조프 작전)이 시작되었다. 브랸스크 전선군과 서부 전선군까지 동원된 소련군은 모델이 동원했던 병력보다 더 많았다. 폰 클루게는 모델에게 제9군과 제2기갑군 지휘를 맡겨 더 많은 병력을 지휘하게 했다. 스타프카는 48시간 안에 오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지만, 3주간의 전투 끝에 모델은 오렐 돌출부에서 질서정연하게 후퇴했다. 7월 1일부터 10일까지 독일군 사상자는 21,000명, 11일부터 31일까지는 62,000명이었다. 모델은 붉은 군대에 42만 9,890명의 사상자와 2,586대의 전차 손실을 입혔다.

모델은 오렐 돌출부에서 초토화를 명령하여 산업 기반과 농작물을 파괴하고 민간인들을 방치했다. 오렐을 잃은 후, 모델은 드네프르강까지 후퇴했다. 9월 말, 모델은 제9군 사령관에서 교체되어 3개월간 휴가를 보냈다.

3. 5. 에스토니아

1944년 1월, 레닌그라드 포위망이 볼코프, 레닌그라드, 제2발트 전선군에 의해 돌파되자, 발터 모델은 북부 집단군 사령관으로 급파되었다. 제18군의 3개 군단 중 2개 군단이 분쇄되고, 나르바를 방어하던 제3SS기갑군단과의 연락이 두절되는 등 상황은 매우 심각했다. 전임 사령관 게오르크 폰 퀴흘러에스토니아의 판터 선까지 후퇴를 요청했으나, 모델은 "방패와 검(Schild und Schwertde)"이라는 새로운 정책을 통해 일시적으로 영토를 포기하고 예비대를 확보하여 즉각적인 반격을 가하는 전략을 펼쳤다.

모델은 나르바 방면의 방어를 오토 슈폰하이머에게 위임하여 나르바 분견군을 지휘하도록 했고, 자신은 곤경에 처한 제18군을 구출하는 데 집중했다. OKH의 허락도 받지 않고 소련군의 출혈을 강요하고 진격 속도를 늦추기 위한 여러 개의 중간 방어선들을 축성하여 후퇴를 엄호했다.

3월이 되자 후퇴는 완료되었고, 모델의 부대는 거의 온전하게 후퇴했으나, 이후 벌어진 반격 과정에서 10,000 – 12,000명의 병력 손실이 발생했다. 이러한 반격은 점령지 회복에는 실패했지만, 소련군의 균형을 뒤흔들며 모델이 부대를 계속 후퇴시킬 시간을 벌어 주었다. 1944년 3월, 모델은 육군 원수로 진급했다.

3. 6. 우크라이나, 폴란드

1944년 3월, 발터 모델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주코프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에 맞서 갈리치아에서 후퇴하고 있었다. 이전 남부 집단군 사령관 폰 만슈타인은 히틀러의 신임을 잃어 해임되었고, 히틀러는 보다 강경하게 방어전에 임할 인물로 모델을 선택했다.

6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중부 집단군이 붕괴되자, 모델은 이를 구원하기 위해 북상했다. 제9군과 제4군이 포위되었고, 붉은 군대는 민스크 해방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모델은 민스크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독일군의 전력 부족과 히틀러의 늦은 결정으로 인해 제4군의 탈출과 전반적인 후퇴가 지연되었다.

7월 3일, 소련 제1벨로루시 전선군과 제3벨로루시 전선군이 민스크를 탈환했다. 모델은 북부 집단군과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에서 구원 사단을 보내 민스크 서쪽 외곽에 전선을 재구축하려 했으나, 독일군의 전력 부족으로 인해 7월 12일까지 빌뉴스-바라노비치까지 후퇴했다. 한편, 이반 코네프가 지휘하는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과 제1벨로루시 전선군 좌익이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에 대해 르보프-산도미에르즈 공세를 개시했다. 이 전투에서 제1기갑군은 모델의 방어전술을 이용해 르보프 동쪽 전선을 유지했으나, 제4기갑군이 소련군의 진격을 막지 못해 후퇴했다.

모델은 바르샤바 코앞까지 진격한 붉은 군대의 진격을 라지민 근처에서 막아내며 비스툴라 강을 따라 전선을 구축했다. 1944년, 모델은 동부전선의 3개 집단군을 모두 지휘했으며, 한때 중부 집단군과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을 동시에 지휘하기도 했다.

3. 7. 노르망디

1944년 8월 17일, 발터 모델은 동부 전선의 공적으로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고 서부 전선으로 전출되어 B 집단군 사령관 및 서부최고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7월 20일 음모에 연루된 귄터 폰 클루게는 모델과 교체되어 독일 본토로 돌아가는 길에 음독 자살했다. 당시 노르망디 전선은 붕괴 직전이었고, 미국 제3군이 센강을 향해 진격해오면서 B 집단군은 팔레즈 고립부에 갇혀 전멸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모델은 히틀러에게 제7군에버바흐 기갑집단의 즉각적인 탈출을 허가해 달라고 설득하여, 포위된 병력의 상당수를 구출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기갑 및 중장비 병력을 잃었다. 히틀러의 파리 사수 요구에 모델은 추가 병력 20만 명과 새 기갑 사단 여러 개를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파리는 8월 25일 연합군에게 함락되었다.

9월 초, 모델은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에게 서부 전선 총사령관 직을 인계하고, B 집단군 사령관직만 유지했다.

3. 8. 독일 본토 방어

모델은 B집단군 사령부를 네덜란드 아른험 근교 우스터비크에 설치하고 지크프리트 선을 기반으로 B집단군 재편과 네덜란드, 독일 본토 방어에 집중했다. 그러나 연합군 정보부는 이를 파악하지 못했다.

1944년 9월 17일, 영국 제1공수사단이 후방에 강하하면서 마켓 작전이 시작되었다. 연합군은 라인강 하류 지류인 뫼즈강과 바알강의 교량들을 공수부대로 점거하여 독일 본토까지 진격하려 했다. 모델은 처음에는 연합군이 자신과 참모진을 납치하기 위해 공수부대를 투입시킨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곧 강하 규모를 보고 다른 목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연합군의 진짜 목적을 간파한 모델은 제2SS기갑군단에게 명령을 내렸고, 연합군 정보병과는 이를 간과했다. 제2SS기갑군단은 제9SS기갑사단과 제10SS기갑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노르망디에서 큰 손실을 보았지만 고참병들로 이루어진 정예 사단이었고 경무장한 공수부대에게는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제9SS기갑사단은 아른험에서, 제10SS기갑사단은 네이메헌에서 영국 공수부대를 공격했다.

모델은 이 상황이 연합군에게 반격을 가해 네덜란드 남부에서 연합군 세력을 몰아낼 기회라고 생각했다. 이를 위하여 모델은 빌리 비트리히 집단지도자와 하인츠 하르멜 여단지도자에게 네이메헌 교량을 파괴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결과적으로 교량 존치는 전술적 실책이 되었지만, 모델은 전황을 완전히 파악하여 공군, 해군 등 서로 소속이 다른 부대와 2선급 부대원들을 재편성하여 적재적소에 투입했고, 연합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독일군은 아른험 교량을 사수했고 영국 제1공수사단은 전멸했다. 이로써 1944년 연말 이전에 라인 강을 넘고자 했던 연합군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모델이 아른헴 전투에서 승리하자 독일군은 노르망디 상륙 이후 거듭됐던 혼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모델은 9월 말부터 아헨 전투, 12월의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오마 브래들리가 이끄는 미 제12군의 공격을 맞아 방어했다. 모델은 전투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면서 연합군의 진격을 늦추었고, 지크프리트 선을 활용하며 연합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휘르트겐 숲에서 미국 제1군은 33,000 명의 사상자를 냈고, 독일군의 사상자는 28,000명이었다. 아헨은 10월 22일에야 연합군에게 함락되었고, 미국 제9군이 큰 피해를 보았다. 미 제9군은 뢰르 강까지 진격하기는 했으나 강을 건너거나 뢰르 강 댐을 독일군으로부터 빼앗지는 못했다.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자 연합군 측에서는 “최악의 패배”라는 내부적 평가가 내려졌고, 그것은 순전히 모델 개인의 지휘력에 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9. 아르덴 대공세 (벌지 전투)

마켓 가든 작전에서 독일 국방군이 승리한 후, 히틀러는 영미권 군대를 기습하여 앤트워프를 탈환하고 연합군 간의 불화를 야기하며, 루르에 대한 적의 위협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공세를 계획했다.[24] 이 작전은 라인 강의 파수꾼(''Wacht am Rhein''de) 작전이라고 명명되었다.

하지만, 모델은 다른 지휘관들과 마찬가지로 이 목표가 현재 서부전선에서 가용한 자원으로는 달성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26] 그는 뫼즈 강을 건너지 않는 덜 야심찬 공격 작전인 헤르스트네벨 작전(가을 안개 작전)을 준비하여 히틀러에게 "소규모 해결책"을 제안했다.[26] 그러나 히틀러는 이를 거부하고 앤트워프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해결책"을 명령했다.

작전 실행을 위해 모델에게는 제6SS기갑군, 제5기갑군, 제7군이 배치되었다. 이 병력은 2,000대 이상의 전차와 2,000대의 항공기를 보유한 독일 제3제국 최후의 전략 예비대였다. 모델은 유류 부족으로 작전 성공 가능성이 낮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작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44년 12월 16일, 아르덴 대공세가 시작되어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항공 지원 부족, 미숙련 보병 병력, 그리고 특히 연료용 중유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제6SS기갑군은 연합군의 저항에 부딪혔고, 제5기갑군은 연합군 전선을 넘는 데는 성공했으나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모델은 바스토뉴에서 중요한 도로 분기점을 장악하지 못했고, 악천후와 험한 지형으로 인해 독일군은 전선 앞에서 교통 정체를 겪었다. 결국 연료와 탄약 부족으로 12월 25일 공격이 중단되었고, 1945년 1월 8일 공세는 완전히 포기되었다.

3. 10. 루르

1945년 1월 21일, 히틀러는 모델의 작전 결정 자유권을 제한하고, 독일군 부대는 총통이자 육군 총사령관인 자신의 직속 명령에 따를 것을 선언했다. 라인강 후방으로 후퇴해야 한다는 제안은 모두 기각되었고, 현 위치로부터 단 1인치도 후퇴하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3월 중순, 모델과 B 집단군은 레마겐 전투에서 루덴도르프 교 파괴에 실패했고, 미군은 루덴도르프 교를 통해 마련한 교두보로 라인 강을 넘어 독일 본토로 진격해왔다.[27] B 집단군은 미군을 상대로 소모전을 계속했고 이 과정에서 미군 제3기갑사단 모리스 로스 소장이 전사했다.[27]

4월 1일, B 집단군은 루르에서 미 제1군과 미 제9군에게 완벽히 포위되었다. 히틀러는 항복이나 탈출을 허가하지 않았고,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파울루스에게 그랬던 것처럼 루르 시가지를 요새로 삼아 끝까지 항전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독일의 중심 산업지역인 루르 공단의 인프라를 연합군의 손에 넘어가기 전에 물리적으로 파괴하라고 B 집단군에게 재차 지시했지만, 모델은 히틀러의 지시를 무시했다.

4월 15일, 연합군이 루르 고립부를 둘로 양분했다. 미국 제18공수군단 군단장 매튜 리지웨이 소장은 모델에게 이미 상황은 돌이킬 수 없으니 부하 장병들의 목숨을 내버리지 말고 항복하라고 권고했다. 모델은 독일군 원수로서 총통에게 맹세한 것을 저버릴 수 없다며 항복을 거부했다. 무엇보다 모델은 중부 독일에서 소련군을 막고 있는 전우들의 안전한 후방을 확보하기 위해 서부전선의 독일군이 쉽게 항복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28] 더 이상 전투를 지속할 수 없게 되자 B집단군의 해산을 결정한다.[29] 노인과 소년병들은 제대 처리되었고, 나머지 병사들에게는 미군에게 항복하거나 소그룹으로 탈출하여 중부 독일의 아군과 합류할 것이 지시된다.[29] 제5기갑군의 일부 병력은 모델의 명령이 내려지기도 전에 벌써 무기를 내려놓은 상태였지만 현대전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대규모 야전군의 자진 해산은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졌다.[29]

1945년 4월 20일, 모델과 참모들은 히틀러의 56세 생일을 기념한 괴벨스의 연설을 듣고 있었다.[30] 요제프 괴벨스의 베를린 대중계몽선전성은 방송을 통해 비밀 신병기가 최후의 승리와 독일의 황금기를 가져올 것을 주장했고, 자진 해산한 B집단군을 '루르의 배신자 군대'라고 규정했다.[30] 라디오 연설이 끝나자 장교들 사이에선 침묵만이 흐르고 마침내 모델이 입을 열었다. "진정으로 내가 범죄에 종사해왔음을 믿게 되었네. 나는 양심적으로 부하들을 이끌었지……, 하지만 범죄 정권을 위한 것이었어." 참모들은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모델이 군사적 의무가 아닌, 정치적 발언을 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기 때문이다[31]

3. 11. 자살

발터 모델은 프리드리히 파울루스가 항복한 것에 대해 "독일의 원수는 항복하지 않는다. 그런 일은 있을 수 없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32] 1945년 3월에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미 '승리 아니면 죽음 밖에 남지 않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33] 또한, 소련군이 라트비아의 강제수용소에서 죽은 577,000 명과 노예노동에 동원된 175,000 명에 대한 책임을 물어 모델을 전쟁범죄자로 기소하자,[34] 항복 대신 자살을 선택했다.

1945년 4월 21일, 모델은 뒤스부르크와 린토르프 사이(오늘날 라팅엔 시의 행정구역)의 숲에서 권총으로 자살했다.[36] 모델은 자살 직전 참모장 카를 바그너에게 "역사의 빛 앞에 우리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모든 행동이 이루어졌는가? 패배한 사령관에게 무엇이 남을 수 있겠는가? 고대의 패장들은 독을 마셨다.”라고 말했다.[35] 모델의 자살과 함께 서부전선의 전투는 실질적으로 종료되었다.[36]

모델의 유해는 임시로 매장되었다가,[37] 1955년 7월 26일, 아들 한스게오르크 모델(후일 서독 연방군 준장)이 빈리히 베어와 함께 유해를 수습하여 휘르트겐 숲의 포세나크 전몰 군인 묘지(Soldatenfriedhof Vossenack)에 이장했다.[38]

포세나크 군사묘지의 모델 묘

4. 장군으로서의 능력

모델은 전통적인 프로이센 장군참모의 사고방식을 지녔지만, 언행은 거칠고 직설적이었다.[39] 부하들에게 엄격했지만, 스스로에게는 불가능을 바랐다는 평가를 받았다.[42] 뛰어난 두뇌와 날카로운 논리, 세부 사항에 대한 집중력으로 최악의 전황에서도 해결책을 찾아냈다.[39] 일선의 장병들과 참모장교, 장성급 지휘관들에게 인기가 좋았으며, "모델이 있는 곳에선 아무것도 문제될 게 없다"는 말이 유행했다.[50]

하인츠 구데리안은 "모델은 전선 경험이 풍부하고 언제나 전력을 다하기 때문에 병사들의 신뢰가 두터웠지만 ‘나태하고 무능한 부하들에겐 달갑지 않은’ 지휘관이었다."라고 평가했다.[40]

전선에 있는 모델


에르빈 롬멜과는 달리, 모델은 그와 함께 일해야 했던 사람들로부터 거의 보편적으로 미움을 받았다. 1941년 제41기갑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을 때, 군단의 모든 참모들이 전출을 요청할 정도였다.[39] 그는 욕설을 하고, 부하들을 세세하게 관리하며, 상의 없이 계획을 변경하고, 필요에 따라 지휘 계통을 무시하는 것을 습관으로 삼았다. 그는 예절에 무관심하여 종종 공개적으로 자신의 장교들을 질책하거나 비난했다.

모델은 성공적인 공세작전을 지휘한 적은 없지만, 이는 그가 최고 사령관에 올랐을 때는 독일군의 대규모 공세가 불가능한 시점이었기 때문이라는 반론이 있다.[51] 후퇴 전문가로 평가받으며, 헤릅스트라이제 작전과 중부 집단군 재건 등에서 경이적인 능력을 보여주었다.[51] 그의 지휘 방식은 사단장이나 군단장 시절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야전군 이상 규모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39]

현대 전사학자들은 모델의 뛰어난 지휘 능력과 방어전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요아힘 루데비크 교수는 모델을 "부하들에게 극한을 요구했지만 스스로에게는 불가능을 바랐다."고 평가했다.[42] 크리스터 베르크슈트룀 또한 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뛰어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랭크시켰다.[53]

5. 평가

모델은 정치에 무관심한 군인으로 행동했지만, 독일 국방군 내에서는 히틀러에게 가장 심취했던 인물로 평가받았다. 1944년 7월 20일의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제출한 서약서에서, 같은 서약서를 제출한 장군들 중에서도 히틀러에 대한 충성을 명확히 표명했다. 자결할 때 마지막 훈시는 "'''이 전쟁의 결과라는 압력으로 인해 독일 국민의 다수와 독일군조차도, 물질만능주의에 물든 유대인민주주의 사상에 더럽혀졌다는 것이 밝혀졌다'''"였다. 모델의 평전을 집필한 스티븐 뉴턴은, 모델은 비정치적 직업 군인으로, 나치즘이 아닌 권위주의적 군국주의를 갈망하며 히틀러에게 순종했으며, 그의 인종적 편견은 당시 일반적인 독일군 장군들과 다를 바 없는 수준이었다고 평가했다.

2차대전 개전 이전, 모델은 정치는 정치인들의 할 일로 미뤄두고, 군사 문제에 전념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델은 독일 국방군 야전원수들 중 히틀러와 가장 친밀했던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때문에 전후 모델에 관한 평가는 크게 엇갈린다. 어떤 역사학자들은 모델이 히틀러에게 “맹목적 충성”을 바쳤거나 또는 히틀러의 “광적인 신봉자”였다고 생각한다. 다른 학자들은 모델이 히틀러나 나치즘의 이상에 동의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총통을 이용한 냉정하게 계산적인 기회주의자라고 미묘한 태도를 취한다. 루터교 가정에서 자란 모델이 나치와 가까워졌다는 모순점 역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매우 희귀한 중산층 출신 독일 장성이라는 모델의 출신성분은 국방군 장교들을 지배하고 있던 프로이센 귀족주의를 불신하던 히틀러의 마음에 들었다. 모델의 방어 전술은 후퇴를 용납하고자 하지 않았던 히틀러의 성미에 딱 맞았다. 게다가 완강하고 정력적이며 무자비한 모델의 성격은 히틀러의 마음에 더욱 쏙 들었고, 거칠고 직설적인 모델의 언행도 히틀러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모델이 정치적 문제에서 히틀러에게 도전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모델이 히틀러와 성공적인 관계를 구축한 비결이라 할 것이다.

방어전에서의 성공이 거듭되면서 모델은 더욱 히틀러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게 되었다.

5. 1. 모델과 나치즘

발터 모델은 부하들에게 총통에 대한 믿음과 국가사회주의의 가치를 지킬 것을 당부하는 연설을 자주 했다.[55] 1944년에는 헤르만 페겔라인의 요청으로 무장친위대 장교를 부관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총통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한 모델은 작전 수행을 위해 총통의 명령을 무시한 일이 있음에도 친나치 군인으로 보이게 되었다.

7월 20일 음모 직후 모델은 귄터 폰 클루게와 함께 가장 먼저 히틀러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그러나 음모에 연루된 한스 슈파이델게슈타포에 넘기는 것은 거부하고 적극 변호했다.

동부전선에서 모델은 친위대의 민간인 학대를 제지하지 않았고, 초토화 명령을 내려 전쟁범죄자로 수배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기소 사항에 대해 SS에 의해 행해진 것은 분명하나 모델이 직접 연루되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또한 모델은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내려진 보복명령에 대해서는 반발만 불러일으킨다며 거절한 바 있다. 바르샤바 봉기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군이 민간인 소요 사태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다.

군사사학자 스티븐 H. 뉴튼은 모델이 나치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으나, 권위주의군국주의자로서 히틀러를 독일이 필요로 하는 강력한 지도자로 인정했다고 평가한다. 모델은 스스로를 정치 중립적인 군인이라고 생각했고, 강한 독일 민족주의 성향과 슬라브족, 유대인에 대한 인종주의적 편견을 갖고 있었다.

역사학자 게르하르트 바인베르크는 스탈린그라드 전투 패전 이후 히틀러가 군사작전을 위해 프로이센 출신 엘리트 고급장교들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것에 열등감을 품고, 이념적으로 국가사회주의에 친숙한 이들로 고급장교진을 교체하고자 했으며, 모델이 페르디난트 쇠르너, 하인츠 구데리안과 함께 이 집단에 속한다고 진단한다.

모델의 과거 부하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박한다. 하인리히 슈프링어는 모델이 친나치였다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고 주장했고,[56] 프리드리히 폰 멜렌틴은 모델이 나치당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는 것은 근거없는 이야기라고 강조했다.[57] 빈리히 베어는 모델이 프로이센 장교의 전통에 충실했다고 진술했다.[58] 그러나 이러한 증언들은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59]

최신 연구는 모델이 나치 추종자였다는 기존의 설과 거리를 두고 있다. 전사학자 데이비드 글랜츠는 모델을 '전통적인 프로이센 장교'라고 정의했고,[61] 로버트 포어칙 박사는 '독일에 대한 애국심과 루터교 신자 특유의 굳건한 신앙심으로 사고방식과 자신감을 구성했다'고 표현했다.[62] 요아힘 루데비크 박사는 모델의 순수 군사적인 사고에서 나온 리더십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상자와 유대인 사망자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63]

6. 경력 요약

6. 1. 계급

발터 모델은 1910년 8월 22일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1915년 2월 25일에 중위, 1918년 3월에는 대위로 진급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군에 남은 모델은 1929년 소령, 1932년 중령, 1934년 10월 1일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모델은 1938년 3월 1일 소장, 1940년 4월 1일 중장으로 진급하며 동부 전선에서 활약하였다. 1941년 10월 26일에는 기갑대장, 1942년 2월 28일에는 상급대장으로 진급하였고, 1944년 3월 30일에는 육군 원수 계급에 올랐다.

6. 2. 보직

발터 모델은 1909년 사관후보생으로 군 생활을 시작하여, 1910년 제52보병연대 폰 알펜슐레벤에 배속되었다. 1917년 참모 임관 후, 1925년 제8보병연대 9대대장, 1928년 베를린 제3사단 참모장교, 1930년 베를린 병무청 제4국(훈련국) 참모장교를 역임했다. 1932년에는 국가청소년건강감독국 참모장을 맡았고, 1933년 제2보병연대 대대장, 1935년 베를린 참모본부 제8국장을 거쳤다.

1938년 제4육군단 참모장, 1939년 제16군 참모장을 역임한 후, 1940년 제3기갑사단 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41년 제41기갑군단 군단장, 1942년 제9군 사령관을 지냈다.

1944년 1월부터 3월까지 북부 집단군 사령관, 3월부터 6월까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사령관, 6월부터 8월까지 중앙집단군 사령관을 차례로 역임했다. 1944년 8월부터 9월까지 서부최고지휘관을 맡았으며, 같은 해 8월부터 1945년 4월까지 B 집단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6. 3. 서훈

발터 모델은 1914년형 철십자장을 수여받았으며, 2급은 1914년 9월 20일에, 1급은 1915년 10월 19일에 받았다. 1915년 3월 29일에는 4급 검 바이에른 무공훈장을 받았다. 1917년 2월 26일에는 검 기사십자 호엔촐레른 왕가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1917년 11월 22일에는 2급 메켈렌부르크-슈베린 무공훈장, 3급 오스트리아-헝가리 무공훈장, 오스만 전쟁메달을 동시에 수여받았다. 1918년형 흑색 전상장은 1918년 8월 27일에 받았다.

스페인 십자장은 1939년 5월 31일에 수여받았다. 철십자약장은 1939년에 받았으며, 2급은 1939년 9월 22일, 1급은 1939년 10월 2일에 받았다. 은색 기갑휘장은 1941년 8월 29일에, 1939년형 금색 전상장은 1942년 5월 25일에, 동부전선 메달은 1942년 7월 15일에 받았다.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과 관련하여,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1941년 7월 9일 당시 소장이자 제3기갑사단 사단장으로서 수여받았다.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1942년 2월 17일 기갑대장이자 제41기갑군단 군단장으로서 74번째로 수훈받았다.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1943년 4월 3일 상급대장이자 제9군 사령관으로서 28번째로 수훈받았다. 마지막으로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1944년 8월 17일 육군 원수이자 중부집단군 사령관으로서 17번째로 수훈받았다.

발터 모델은 국방군 보도에 1942년 2월 21일, 1943년 9월 3일, 1944년 8월 5일, 1945년 4월 19일 총 4차례 언급되었다.

참조

[1] 서적 Panzers in Winter - Hitler's Army and the Battle of the Bulge Praeger 2006
[2] 학술지 Rethinking Rommel http://www.historyne[...] 2019-11-11
[3] 서적 Model. Strategie der Defensive Bastei Lübbe 1975
[4]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Eine Neubewertung Biblio-Verlag 2008
[5]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11
[6]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11
[7] 서적 Strategie der Defensive – Model Limes-Verlag 1982
[8] 서적 Model – Strategie der Defensive Limes-Verlag 1982
[9] 방송 Die Wehrmacht - Eine Bilanz ZDF 2007
[10] 서적 Walther Model: The background, strategies, tactics and battlefield experiences of the greatest commanders of history 2011
[11]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12] 서적 Generalfeldmarschall Model Biographie 2012
[13]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1891–1945). Dokumentation eines Soldatenlebens Biblio 1991
[14] 서적 Generalfeldmarschall Model Biographie 2012
[15]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Von Genthin bis vor Moskaus Tore 1962
[16] 서적 Generalfeldmarschall Model Biographie 2012
[17] 서적 Verantwortung und Gewissensnot 2004
[18] 서적 Moscow to Stalingrad
[19]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Von Genthin bis vor Moskaus Tore 1962
[20] 서적 Panzer Leader 1952
[21] 서적 Walther Model: The background, strategies, tactics and battlefield experiences of the greatest commanders of history 2011
[22] 학술지 Could Germany Have Won the Battle of Kursk if It Had Started in Late May or the Beginning of June 1943? 2014
[23] 서적 Panzer Battles 1956
[24] 서적 Panzers in Winter: Hitler's Army and the Battle of the Bulge 2007
[25] 서적 The Ardennes, 1944-1945: Hitler's Winter Offensive 2014
[26]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27] 서적 US Army in WW II: The Last Offensive http://www.history.a[...] Center for Military History,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4-11-19
[28] 서적 기갑전투 1985
[29] 간행물 Army Group B (22 Mar-17 Apr 1945) Foreign Military Studies 1945-1961
[30]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1]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2]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3]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1891–1945). Dokumentation eines Soldatenlebens Biblio 1991
[34]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5]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6]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7]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8] 서적 Battle for the RUHR 2006
[39]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Von Genthin bis vor Moskaus Tore 1962
[40] 서적 한 군인의 회상 2015
[41] 서적 Rückzug: The German Retreat from France, 1944 1944
[42] 서적 Walter Model – Hitlers bester Feldmarschall 1998
[43] 서적 Stationen eines Lebens in Krieg und Frieden 1996
[44] 서적 Die silbernen Spiegel Generalstabsdienst unter der Lupe Vowinckel Verlag 1952
[45] 서적 Die 12. PANZERDIVISION (2.ID) POMMERN 1921 - 1945 1988
[46] 서적 Battle for White Russia: The Destruction of Army Group Centre, June 1944 1988
[47] 서적 Rshew, Eckpfeiler der Ostfront 1962
[48] 서적 Generalfeldmarschall Walter Model. Von Genthin bis vor Moskaus Tore 1962
[49] 문서 Foreign Military Studies B-701 Army Group B (15 Oct 1944-1945)
[50] 문서 Foreign Military Studies B-701 Army Group B (15 Oct 1944-1945)
[51] 방송 Die Wehrmacht - Eine Bilanz ZDF 2007
[52] 서적 Rückzug: The German Retreat from France, 1944 1944
[53] 서적 The Ardennes, 1944-1945: Hitler's Winter Offensive 2014
[54] 서적 Hitler's War on Russia 2007
[55] 서적 Warzaw II: The Tank Battle at Praga 2007
[56] 서적 Stationen eines Lebens in Krieg und Frieden 1996
[57] 서적 기갑전투 1985
[58] 방송 Die Wehrmacht - Eine Bilanz ZDF 2007
[59] 서적 피의 기록, 스탈린그라드 전투 2012
[60] 서적 피의 기록, 스탈린그라드 전투 2012
[61] 서적 Zhukov's Greatest Defeat: The Red Army's Epic Disaster in Operation Mars, 1942 1942
[62] 서적 Walther Model: The background, strategies, tactics and battlefield experiences of the greatest commanders of history 2011
[63] 서적 Rückzug: The German Retreat from France, 1944 1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